맨위로가기

예친왕 (豫)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친왕(豫親王)은 청나라의 친왕 작위로, 누르하치의 15남 도도(多鐸)에게 처음 봉해졌다. 도도는 1636년부터 1649년까지 재위했으나 작위가 추탈되었고, 이후 신군왕으로 강등되었다가 1778년 건륭제 때 예친왕 작위가 복구되었다. 이후 도도의 후손들에게 작위가 계승되었으며,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된 후에도 유지되었으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지위를 상실했다. 마지막 예친왕인 김동병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 사람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청나라 사람 - 원매 (청나라)
    원매는 청나라 중기의 시인이자 미식가, 수필가로 자연의 성정을 중시하는 성령설을 주창하여 새로운 시풍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은거 생활을 하며 수원식단, 자불어, 수원시화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여성 문학을 옹호하며 여제자들을 길러내는 등 진보적이면서도 데카당스적인 면모를 보였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예친왕 (豫)

2. 역대 예친왕가 가주

역대 예친왕
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기록
1예친왕(豫親王)통(通)도도누르하치의 15남1636년 ~ 1649년1652년 작위 추탈, 예군왕(豫郡王)으로 강봉. 1778년 예친왕 복작.
2신군왕(信郡王)선화(宣和)다니도도의 차남1649년 ~ 1661년1651년까지 신친왕(信親王), 이후 신군왕으로 강봉. 1778년 예친왕으로 추봉.
3신군왕(信郡王)악찰다니의 차남1661년 ~ 1702년1778년 예친왕으로 추봉.
4신군왕(信郡王)동액도도의 7남1703년 ~ 1706년
5신군왕(信郡王)각(慤)덕소악찰의 5남1706년 ~ 1762년1778년 예친왕으로 추봉.
6신군왕(信郡王)각(恪)여송공의포의 아들1762년 ~ 1770년1778년 예친왕(睿親王)으로 추봉.
7예친왕(豫親王)량(良)수영덕소의 아들1778년 ~ 1786년
8예친왕(豫親王)유풍수영의 장남1786년 ~ 1814년1814년 작위 박탈
9예친왕(豫親王)유흥수영의 3남1814년 ~ 1820년1820년 작위 박탈
10예친왕(豫親王)후(厚)유전수영의 5남1820년 ~ 1840년
11예친왕(豫親王)신(愼)의도유전의 차남1841년 ~ 1868년
12예친왕(豫親王)성(誠)본격의도의 차남1868년 ~ 1898년
13예친왕(豫親王)무임본격의 사자(嗣子)1899년 ~ 1913년
14예친왕(豫親王)김동병(金東屛)
(본명: 단진)
무임의 아들1913년 ~ 1945년


2. 1. 누르하치의 15남 도도



'''도도'''(多鐸, Dodo)는 누르하치의 15번째 아들이자, 예친왕가의 시조이다. 1636년부터 1649년까지 예친왕(豫親王)으로 재위하였다.

도도는 청나라 건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1652년에 작위가 추탈되고 예군왕(豫郡王)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1778년에야 예친왕 작위가 복권되었다. 이처럼 그는 정치적으로 부침을 겪었으며, 그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평가는 복잡하게 মিশ্রিত되어 있다.

2. 2. 도도의 후손들

도도의 후손들은 예친왕(豫親王) 작위를 계승하며 청나라 황실의 중요한 일원으로 활동했다. 도도는 1652년 작위를 추탈당하고 예군왕(豫郡王)으로 강등되었다가 1778년에 복권되었다. 이후 그의 후손들은 다시 예친왕 작위를 받았다.

도도의 후손 중에서는 작위를 박탈당했다가 다시 복권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수영의 장남 유풍(裕豊)과 셋째 아들 유흥(裕興)은 각각 1814년과 1820년에 작위를 박탈당했다.

도도의 후손들
대수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비고
1예친왕(豫親王)통(通)다탁(多鐸)누르하치의 15남1636년 ~ 1649년1652년 작위 추탈, 예군왕으로 강봉. 1778년 예친왕 복작.
7예친왕(豫親王)량(良)수영(Sioling)덕소의 아들1778년 ~ 1786년
8예친왕(豫親王)유풍(裕豊)수영의 장남1786년 ~ 1814년1814년 작위 박탈
9예친왕(豫親王)유흥(裕興)수영의 3남1814년 ~ 1820년1820년 작위 박탈
10예친왕(豫親王)후(厚)유전(裕全)수영의 5남1820년 ~ 1840년
11예친왕(豫親王)신(愼)의도(義道)유전(裕全)의 차남1841년 ~ 1868년
12예친왕(豫親王)성(誠)본격(Benge)의도(義道)의 차남1868년 ~ 1898년
13예친왕(豫親王)무임(懋林)본격의 사자(嗣子)1899년 ~ 1913년
14예친왕(豫親王)김동병(金東屛) (본명: 단진(端鎭))무임(懋林)의 아들1913년 ~ 1945년


2. 2. 1. 신군왕(信郡王) 시기

도도가 작위를 추탈당한 후, 예친왕(豫親王) 작위는 신군왕(信郡王)으로 강등되었다.

신군왕(信郡王) 시기
대수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비고
2신군왕(信郡王)선화(宣和)다니도도의 차남1649년 ~ 1661년1651년까지 신친왕(信親王), 이후 신군왕으로 강봉. 1778년 예친왕으로 추봉.
3신군왕(信郡王)악찰다니의 차남1661년 ~ 1702년1778년 예친왕으로 추봉.
4신군왕(信郡王)동액도도의 7남1703년 ~ 1706년
5신군왕(信郡王)각(慤)덕소악찰의 5남1706년 ~ 1762년1778년 예친왕으로 추봉.
6신군왕(信郡王)각(恪)여송보국각근공 공의포의 아들1762년 ~ 1770년1778년 예친왕(睿親王)으로 추봉.


2. 2. 2. 예친왕 복권 이후

1778년(건륭 43년), 누르하치의 열다섯째 아들 다탁(多鐸)에게 예친왕(豫親王) 작위가 복권되었다. 다탁은 1652년 작위가 추탈되고 예군왕(豫郡王)으로 강등되었으나, 이때 다시 예친왕으로 복권된 것이다.

다탁의 후손들은 예친왕 작위를 계승하며 청나라 황실의 중요한 일원으로 활동했다. 예친왕 작위는 다탁의 차남 다니(多尼)에게 이어졌고, 다니는 1651년까지 신친왕(信親王)으로 불렸다가 신군왕(信郡王)으로 강등되었으나, 1778년 예친왕으로 추봉되었다.

예친왕 작위는 이후 여러 인물에게 계승되었다.

예친왕 복권 이후 계승자
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비고
예친왕(豫親王)량(良)수영(Sioling)덕소의 아들1778년 ~ 1786년
예친왕(豫親王)유풍(裕豊)수영의 장남1786년 ~ 1814년1814년 작위 박탈
예친왕(豫親王)유흥(裕興)수영의 3남1814년 ~ 1820년1820년 작위 박탈
예친왕(豫親王)후(厚)유전(裕全)수영의 5남1820년 ~ 1840년
예친왕(豫親王)신(愼)의도(義道)유전의 차남1841년 ~ 1868년
예친왕(豫親王)성(誠)본격(Benge)의도의 차남1868년 ~ 1898년
예친왕(豫親王)무임(懋林)본격의 사자(嗣子)1899년 ~ 1913년
예친왕(豫親王)김동병(金東屛) (본명: 단진(端鎭))무임의 아들1913년 ~ 1945년


2. 3. 청나라 말기의 예친왕

청나라 말기 예친왕은 1868년 의도(義道)의 차남 본격(本格)이 예친왕 작위를 계승하면서 시작된다. 본격은 1898년까지 예친왕으로 재임했다.

1899년에는 본격의 사자(嗣子)인 무임(懋林)이 예친왕 작위를 계승하여 1913년까지 재임했다.

1913년, 무임의 아들 김동병(金東屛, 본명: 단진(端鎭))이 예친왕 작위를 계승하여 1945년까지 재임했다.

청나라 말기 예친왕
봉호이름재위년도기록
예친왕(豫親王)본격(本格)1868년 ~ 1898년의도(義道)의 차남
예친왕(豫親王)무임(懋林)1899년 ~ 1913년본격의 사자(嗣子)
예친왕(豫親王)김동병(金東屛)
본명: 단진(端鎭)
1913년 ~ 1945년무임의 아들


2. 4. 일제강점기 예친왕

마지막 예친왕은 단진(端鎭)으로, 김동병(金東屛)이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무임(懋林)의 아들로, 1913년부터 1945년까지 예친왕 작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